기록하는 공부

[IT/보안 뉴스] 공공 망분리 의무화 규제 확 푼다…관공서에서 PC 한대로 업무볼까 본문

정보보안/IT 및 보안 뉴스

[IT/보안 뉴스] 공공 망분리 의무화 규제 확 푼다…관공서에서 PC 한대로 업무볼까

SS_StudySteadily 2024. 8. 12. 17:01
728x90
반응형

 

 

뉴스 요약

 

  • 18년 만에 공공망 분리 제도 변경 예정
  • 기존: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 업무망을 분리해 사용 -> 업무 효율이 떨어지고 데이터를 옮기는 것 어려움
  • 변경예정: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내·외부망을 논리적으로 분리하거나 보안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는 조건에서 외부 접근을 허용해 주는 방식 등이 허용될 예정
  • 기대효과: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 활발, 클라우드 보안 등 정보보호 서비스 수요 증가

 

 

 

 

 


 

 

리뷰

 

  • 망분리: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 업무망을 분리하는 것
구분 단일망(망분리x) 논리적 망분리 물리적 망분리
개념 1개의 PC를 외부망과  내부망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법 물리적인 네트워크는 하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방법 별도의 물리적 장비를 사용해 내부망과 외부망을 완전히 분리하는 방법
특징 - 하나의 네트워크로 모든 시스템과 기기가 연결된 구조
- 경제성과 편의성이 좋음
- 내부망 시스템은 외부 해킹 취약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가상 네트워크 생성
- VLAN기술 사용해 동일 물리적 네트워크 안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된 네트워크 환경 구성
- 물리적 망분리에 비해 비용 저렴
- 유연성 높음

- 보안성은 상대적으로 낮음
-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 네트워크 연결x
- 별도의 하드웨어, 장비 등 사용
- 보안성이 매우 높음
- 구축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 복잡

 

 

다중계층 보안(Multi Level Security, MLS)

 

구분 내용
개념 획일적인 망분리 규제에서 벗어나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이에 맞춰 보안 강도를 차등 적용하는 것
특징 - 데이터를 C(기밀 정보·Classified), S(민감 정보·Sensitive), O(공개 정보·Open)의 3단계로 분류
- 가장 낮은 등급은 아예 망분리에서 제외해 개방
- 데이터, 사용자 등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해 보안 수준과 업무 영역에 따른 보안 등급, 보호 범주를 부여
- 등급별 적용할 기술과 수단 선택 및 강화 대책 마련 필수
장점 - 보호가 필요한 정보는 보안 강화
- 활용 가치가 높은 정보는 공유 -> 폐쇄적이었던 공공데이터 체계와 업무 환경 개선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 '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Never Trust, Always Verify)’라는 인식을 전제로 하는 보안 방법론
  •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신뢰하지 않고, 각 요청에 대해 실시간으로 검증 및 인증을 수행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접근 방식

제로트러스트

 

 

 

 

 


 

 

뉴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714026

 

공공 망분리 의무화 규제 확 푼다…관공서에서 PC 한대로 업무볼까

공공망 분리 제도가 18년 만에 확 바뀐다. 망분리 제도는 말 그대로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 업무망을 분리해 사용하도록 하는 보안 정책이다. 이 때문에 그동안 정부 행정부처와 주요 공공기관·

n.news.naver.com

 

- 참고자료 -

 

혁신과 규제 사이, 다중계층보안(MLS)으로 보는 보안의 미래

현대 사회의 기술 발전 속도가 눈부시다. 새로운 기술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그에 따라 조직과 개인의 디지털 환경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IT 시스템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대폭 향

www.igloo.co.kr

728x90
반응형